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신념과 읽기 활동 및 그림책읽기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 in reading and teachers’ read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in picture-book readings.

본 연구는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신념과 읽기 활동, 그림책읽기의 경향과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만 3세반의 교사 53명이었다.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신념과 읽기 활동 측정을 위해 Kwon(1999)의 측정 도구와 교사의 그림책읽기의 언어적 행동 측정을 위해 이명신·김명순(2011)의 분석기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신념에서 총체적 신념이 높을수록 읽기 활동의 제공을 많이 하였다. 특히 교사가 갖고 있는 읽기 교육에 대한 총체적 신념이 높을수록 ‘유아 자신이 쓴 글을 친구들 혹은 교사와 공유하기’ 활동과 ‘유아가 자신의 이야기를 움직임과 함께 표현하기’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신념에서 총체적 신념이 높을수록 그림책읽기의 하위 영역인 명명하기, 등장인물 묘사하기, 추측하기, 판단 평가하기의 언어적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실에서의 읽기 활동과 그림책읽기에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신념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교사의 신념에 관한 교육과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belief in reading, teachers’ reading activities, and picture-book reading. The subjects were 53 teachers assigned to a class of three year-old children in Seoul and Gyunggi area. This study used a Kwon’s(1999) testing tools related to teachers’ belief in reading and reading activities. In order to measure the verbal behavior of the teacher in picture-book reading with children, this study used Myung Shin Lee’s and Myung Soon Kim’s(2011) analytical tools. The major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had a stronger belief of whole language offered more reading activities. Particularly, these teachers had students who shared more of their writings to friends or teachers, and presented themselves with movements to describe their writings. Second, the teachers’ who had a stronger belief of whole language exhibited more verbal behavior such as naming, describing of characters, speculating, judgment, and evaluation, which are subordinate to picture-book reading.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teachers’ belief in reading may affect the reading activities in the class room and picture-book readings, and also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and concern about the beliefs of the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