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 동안 경험한 유형별 갈등의 정도와 구체적인 내용 및 교육실습기관의 배경에 따른 유형별 갈등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원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구성과 체계적인 실습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질문지이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유아와의 갈등, 자신과의 갈등, 지도교사와의 갈등, 기관과의 갈등, 실습업무와의 갈등, 동료실습생과의 갈등 순으로 갈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유형별 갈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 결과, 자신과의 갈등에서는 실습에 대한 자신감 부족, 지도교사와의 갈등에서는 지도교사의 수업 모델링부족, 유아와의 갈등에서는 유아들의 통제에 대한 능력 부족, 기관과의 갈등에서는 재료비 자비부담으로 인한 재정적인 부담, 동료실습생과의 갈등에서는 동료실습생과의 원만치 못한 업무 협조, 실습업무와의 갈등에서는 잡무로 인한 교육적 실습의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교육실습기관 배경에 따른 유형별 갈등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반의 유아 수’에 따라 ‘교사와의 갈등’과 ‘유아와의 갈등’에서 그리고 ‘실습반의 유아연령’에 따라 ‘유아와의 갈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교육실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대학과 유치원이 어떻게 협력하면 좋은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s and the types and severity of conflict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The overall objective in this was to enrich the substance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the maintenance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s and kindergartens. Subjects were 120 third year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rolled in regular college courses during 2012 and 2013.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student teaching. Upon submission, questionnaire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e most conflicts with children and the least number of conflicts with colleagues. Second, the contents of each conflict category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and ranked. Third,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conflic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teacher background, such as age and teaching experience, but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did exist for variables associated with children in the classroom, such as the total number and the average age. These results highlight some ways in which colleges and kindergartens may cooperate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the education of student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