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은 성별과 연령을 초월하여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영상문화콘텐츠의 대표 장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오성윤의 「마당을 나온 암탉」과 미야자키 하야오의 「벼랑위의 포뇨」라는 두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생명담론을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기부터 가져야 할 바른 생명담론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답을 찾아가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작품을 여러 차례 감상한 후 두 작품의 주요 인물과 스토리 및 주요 장면을 중심으로 주제어를 도출한 뒤 두 작품에 대한 해설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내용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생명담론은 생명생태계가 맞이한 위기 상황과 ‘우리’라는 생명공동체를 향한 본래성으로 도출되었다. 생명생태계가 맞이한 위기 상황의 하위 주제는 생명생태계의 붕괴와 위기, 존재 소외와 왜곡이 해당하며, ‘우리’라는 생명공동체를 향한 본래성의 하위 주제는 깊고 부드러운 관계성, 섬세하고 충만한 영성, 있는 그 자체로의 순환성이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에게 생명과 생태계에 대한 깊은 사유와 의미관계 형성의 필요성을 요청하고 있다. 또한 생태담론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은 유아들의 생태의식 고양을 위한 유의미한 학습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the life discourses in Ponyo on the Cliff by Miyazaki Hayao and ‘Leafie, a Hen into the Wild’ by Sung Yoon O. The research is intended to introduce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s as to the definition of the proper life discourse that should be given to children, and to suggest the way in which the solutions can be found. The researcher, for the purpose, watched the two animations several times. She drew the theme word from the stories and important scenes of the two works, and analyzed the contents, harnessing the explanations and the existing studies of them. The life discourses found in the two works in common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situation with which the ecosystem is confronted’, that is, ‘the alienation and the distortion of being and ‘the collapse and the crisis of the ecosystem’. Second: ‘The originality for the life community, we’, that is, ‘the deep and gentle relationship’, ‘the delicate and full spirituality’, and ‘the circularity as being itself’. Conclusion, the study has found that ‘Ponyo on the Cliff’ and ‘Leafie, a Hen into the Wild’ ask us to give deep consider to the ecosystem in terms of life. The conclusion gives us suggestions as to the method for delivering life discourse and life principle to children. The life discourses should provide children with the experiences of meeting numerous living creatures in nature and having conversations with them, and cultivate children s wisdom and insight for the abundant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m.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