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노자 도덕경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교육관의 해석

Interpret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laozi’s tao te ching

  • 7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자가 말하는 도의 의미와 도 교육이 무엇인지 검토함으로써 생태유아교육의 교육관을 해석하고, 도덕경이 생태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데 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노자의 도를 ‘무’, ‘이치’, ‘작용’으로 분류할 수 있고, 무의 도를 통하여 무위교육, 이치의 도를 통하여 도리교육, 작용의 도를 통하여 삶교육을 유아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무위교육은 무의식을 활용하는 교육으로, 지켜보되 관여하지 않고 사랑하되 간섭하지 않고 보여주되 가르치지 않고 함께하되 강요하지 않는 교육이다. 도리교육은 예를 보편적 도리로 일반화시키지 말고 내면의 마음에 초점을 두어 자연스럽게 예가 우러나오도록 하는 교육이다. 삶교육이란 삶에서 우러나는 제각각 다른 발달 시기와 속도를 인정하고, 생활을 통한 교육을 하며 마음과 영혼의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노자의 교훈을 통해 비움의 교육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지식과 배움의 양을 채우는 교육이 아니라 덜어내고 비워 여유로움과 자유를 주는 교육이다. 생태유아교육은 이론이 먼저 수립되었다기보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천하고 체득하여 얻어진 경험치에 가깝고, 체득을 통하여 얻어진 비움의 도라고 할 수 있다. 도는 가득 채우려고 하지 않듯이, 생태유아교육 또한 꽉 채우지 않고 비워두어 그 비움으로 인하여 여러 사상들과 어우러지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그것이 생태유아교육을 더욱 풍요롭게 하며 장구하게 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and contextualize Eco-early Education using the meaning of Tao in the Tao Te Ching and Tao’s education: Laozi’s Tao has three distinct compenents: “nothing education,” “principle education,” and “life education.” Nothing education refers to unconscious learning that occurs through observation, as opposed to formal teaching, principle education is not a reference to formal manners, but to an inner courtesy, while life education places great value on the opportunities for learning that occur during everyday life. In addition, the empty ideology that the amount of education received is insignificant in comparison to the freedom and relaxation it can provide may be learned through the study of the Tao Te Ching,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not established from a purely theoretical perspective, but from practice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ther words, education is the Tao of empty learning and practice. Though the adoption of an empty ideology,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s in harmony with various other doctrines and may be adapted to each age an region. This flexibility makes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ffluent and durable.

Ⅰ. 서론

Ⅱ. 생태유아교육의 교육관

Ⅲ. 도덕경을 통한 생태유아교육의 해석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