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기도에 위치한 189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정서노동 질문지와 직무소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하여 빈도분석, One way ANOVA 검증 및 Schéffe 사후검증, Pearson의 정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경력과 월 소득에 따라 직무소진은 유의차가 있었고, 교사의 연령, 학력과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소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정서노동 중에서 내면적 행동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 직무소진 전체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면적 행동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직무소진 전체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연적 행동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 직무소진 전체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s used for this study was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Emotional Labor Scale, and Burnout Questionnaire.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OVA test and Schéffe post-hoc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s and salary had statistically a meaningful difference in burnout. but teachers age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ypes of institute did not have. Secondly, the deep acting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reveal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dehumanization,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the entire burnout. Surface acting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nd the entire burnout. Natural acting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the entire burnou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