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수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in An Science Education Course: A Resource-based Learning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기반학습에 기초한 과학교육수업에서 나타난 유아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탐색하여 유아과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 학기 수업동안 자원기반학습의 준거 틀에 기초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과정과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토의하는 자기평가의 기회 그리고 동료 예비교사와 지도교수의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 포트폴리오, 평가기록지,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이해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유아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은 교사 자신이 이론가이며 성인학습자라는 사실을 이해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강조되는 동료장학을 선행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지식은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세워 계획하고,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해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 향상되며, 자신과 다른 예비교사의 학습을 상호평가하는 것이 예비교사의 교수실제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science education with exami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of sci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source-based learning. Resource-based learning were provided to preservice teachers during class hours for one semester. The assessment requir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for reflective thinking, discussion of contents, process of learning, and evaluation of participants behaviors as well as required feedback from the peer and the advisor. Based on these activities, reflective journals, portfolios, self-assessments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gathered from preservice teachers and were analyzed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y are able to formulate positive understandings of science and to accumulate practical knowledge about childhood science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ey are also able to recognize themselves as theorists and as adult learners They experience peer-coaching, accentuated in the a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vance. This indicates that their knowledge about science teaching can be improved by planning,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achers also benefit by assessing his or her learning, by assessing the other preservice teachers and by providing mutual feedback between themselves and other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