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국어 문법 학습자의 음운 개념 구성 양상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phonological concept composition patterns of Korean grammar learners

DOI : 10.34245/jed.41.3.557
  • 115

본 연구는 문법 학습자들이 어떠한 선행 지식과 신념을 토대로 어떠한 사고 과정을 거쳐 문법 개념을 형성하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개념 변화가 발생하는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문법교육 내용들 중에서도 인지적 부담도가 높다고 보고되는 음운 개념에 주목하여, 학습자들의 개념 구성 과정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특히 개념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체계를 전제로 하므로, 개념 생태적 접근법을 취해 구체적인 양상을 포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념 생태적 접근을 취한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학습자별 개념 생태와 개념 지위를 파악하고,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개념 지위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살폈다. 학습자들의 개념 변화 양상과 개념 생태의 특징을 비교하여, 음운 학습자들의 개념 생태는 어떤 요소와 특징을 보이는지 살폈다. 또한 개념 변화 과정에서 특징이 부각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같은 시도는 문법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문법 탐구 설계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 중심의 문법교육 실천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based on what kind of prior knowledge and beliefs, grammar learners form grammar concepts through what kind of thinking process, what kind of conceptual changes occur in the learning process,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with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s explored. tried Among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we focused on the phonological concept, which is reported to have a high cognitive burden, and looked into the concept construction process of learners. Above all, since a concept essentially presupposes a system, I tried to capture a specific aspect by taking a conceptual ecological approach. To this e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at took a conceptual ecological approach, the concept ecology and concept status for each learner were identified, and whether a change occurred in the concept status was checked through interview data analysis. By comparing learners conceptual change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ecology, we investigated what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conceptual ecology regarding phonology. In addition, a case in which conceptual ecology features are highlighted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is presented. Such an attemp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inquiry learning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grammar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a basis for the practice of grammar education reflecting the internal situa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grammar education.

Ⅰ. 서 론

Ⅱ. 개념 생태 분석의 전제와 조건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