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도덕과 교육학 필수 지식의 선정과 조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DOI : 10.34245/jed.41.3.467
  • 104

본 논문의 목적은 중등학교 도덕․윤리 교사 교육과정과 교사임용선정시험에서 학습자료로 쓸 수 있는 도서에 담길 도덕과 교육학의 필수 지식을 선정․조직하는 기초 이론, 학습 주제, 학자들을 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중등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 교육과정과 중등교사임용시험 평가에서 측정하는 도덕․윤리 교사의 역량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서에 담겨야 하는 필수 지식은 도덕․윤리 교과를 전공한 사람이 성취해야 하는 기준, 즉 도덕성 발달에 대한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성향과 관련되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교사의 도덕성과 도덕적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능력 두 가지 측면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한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만 도덕․윤리 교과의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공통으로 다루어야 하는 교과교육학 지식으로서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의 학습 성취기준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거의 사문화되고 있는 중등교사임용시험 도덕․윤리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보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asic theories, learning topics, and scholars that select and organize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to be included in book that could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teacher selection test. This learning materials for moral pedagogy can suggest standards for the competence of moral teachers measured in the secondary school pre-service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evaluation. The essential knowledge to be contained in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related to the standards that a person who major in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must achieves, that is, moral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dispositions. This material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useful for developing the morality of teachers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teach morally. Only then can it serve as a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 for pre-service moral teachers.

Ⅰ. 서 론

Ⅱ. 도덕과 교육학 필수 지식의 의의

1. 도덕과 교육학의 의미

2. 교과 필수 지식 선정 준거

Ⅲ. 도덕과 교육학 연구·개발

1. 교사 교육과정 기준과 선정시험 준거

2. 도덕과 교육학 필수 지식 선정 준거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