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s of Telerehabilitation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 김민지(Kim, Min-Ji) 신원미(Shin, Won-Mi) 양영애(Yang, Yeong-Ae)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1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2
- 35 - 47 (13 pages)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제공 의도 및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3월 13일부터 3월 1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00부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70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결과 : 영역별 평균 점수는 다음과 같다. 적합성의 평균 점수는 3.9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육 제공 의사 3.89점,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식 3.81점, 비용 절감 3.78점, 유용성 3.75점, 접근성 3.62점, 의료서비스의 질 3.49점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중심 재활 참여 및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묻는 항목 모두 각각 높은 점수로 나타나며 작업치료사의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후속 연구와 더불어 정부 및 지자체 내에서의 접근성 증진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ist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n and willingness to provide telerehabilitation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Methods : From March 13 to 19, 2021,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occupational therapis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was conducted. 1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ut only 70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sion 23.0. Results : The average scores by region were as follows. The average compatibility score was highest at 3.92 score, intention to providing education, doctors 3.89 score, community-centric rehabilitation awareness 3.81 score, cost saving 3.78 score, perceiver usefulness 3.75 score, accessibility 3.62 score, the quality of telerehabilitation service was in order of 3.49 score. Conclusion : All items asking whether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e in community-centered rehabilitation and non-face-to-face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 scores, indicat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follow-up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elerehabilitation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measures for improving accessibility within the local and national government should b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