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접근성 확대를 위한 블렌디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문화예술교육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B lended C urriculum for Art & Culture E ducation Instructors to Expand Universal Accessibility: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rt & Culture Education Field’ Subject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1호
- : KCI우수등재
- 2022.02
- 137 - 157 (21 pages)
이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 육사 2급 자격과정 중 ‘문화예술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의 블렌디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과정과 ‘문화예술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에 관련된 문헌을 수집 및 분석하고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과목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문화 예술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의 단계별 블렌디드 교육과정 운영 방법과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블렌디드 교육과정의 개발은 앞으로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마주할 문화예술교육의 범위 를 확대하고 사회적 역할을 넓히게 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lended curriculum of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rts & Culture Education Field subject for the qualification cours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to secure universal accessibility in the New Normal era. The research method is to collect and analyze literature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course of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rts & Culture Education Field . The status of the subject oper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s identified to deriv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blended curriculum at each stage. The blended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that will face various social changes in the future and expand its social role.
Ⅰ. 서론
Ⅱ.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Ⅲ. 블렌디드 러닝
Ⅳ. 블렌디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V. 요약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