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022.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유 놀이시간에 드러난 교사-유아 관계 분석 - M. Buber의 만남 철학의 관점으로

Analysi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appeared in free play time–based on the perspective of M. Buber’s philosophy of meeting

  • 640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 놀이시간에 드러난 교사-유아의 관계를 M. Buber의 만남 철학의 관점에서 현상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풀꽃반 교사와 유아들로, 매주 2회, 총 24회 참여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을 위하여 녹음과 비디오 촬영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비 대화적 관계, 대화적 관계로 들어서기, 대화적 관계의 3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 범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를 Buber의 만남 철학의 관점에서 논의하면, 첫째, 교사의 힘에 의한 규칙들이 강조되고, 그 규칙안에서 유아들이 기계적으로 순응하는 교사-유아의 관계로, ‘나-그것’의 관계이다. 둘째, 엄격한 규칙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 속에서 변화하는 유아들의 모습을 경험하는 교사-유아 관계로, ‘나-그것’의 관계에서 ‘나-너’의 대화적 관계로의 과도기적 과정이다. 셋째, 유아를 하나의 인격체인 ‘너’로 존중하고, 놀이 속에서 공동학습자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유아들과 정서적 공감을 나누는 상호주관성에 근거한 교사-유아 관계로 대화적이고 인격적인 ‘나-너’의 관계이다. 이처럼 교사와 유아가 각각 인격적 주체로서 함께 만들어가는 대화적 교사-유아 관계 속에서 자유 놀이는 더욱 의미 있는 경험으로 다가갈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at appeared in free playtime from the perspective of Buber philosophy and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study subjects were a teacher and 5-year-old children of the ‘Grass Flower’ clas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performed 2 times every week, a total of 24 times. For data collection, the observed scenes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3 catagories and 7 subcatagories were divided. Discussing this result from the perspective of Buber’s philosophy of ‘meeting’, the first is the ‘I-It’ relationship. This i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at the rules set by the power of the teacher are emphasized and that the children adapt themselves routinely to the rules. The second is a transitional process from the ‘I-It’ relationship to the ‘I-You’ relationship of ‘dialogue’, which mean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o escape the strict rules and experience the changes of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while the teacher listens to them. The third is the ‘I-You’ relationship of ‘dialogue’, which i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based on the inter-subjectivity the teacher actively participates in play as a co-learner and shares emotional sympathy with children, respecting them as ‘You’ who are also human beings. As such, free play will become a more meaningful experience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here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can build their subjective personalities respectively.

Ⅰ. 서론

Ⅱ. Buber의 만남 철학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