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협동심이 학업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oper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 박유경(Park, Yookyeong) 이금규(Lee, Keumkyu) 김유정(Kim, Yoojung) 이강이(Lee, Kangyi)
- 한국인간발달학회
- 인간발달연구
- 제29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3
- 43 - 60 (18 pages)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협동심과 학업열의에 따른 학업성취만족도를 알아보고 협동심과 학업성취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협동심과 학업성취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 제2차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과 부트스트랩(bootstrap) 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사례는 2,331개이며, 아동의 성별은 남아 1,163명, 여아 1,168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학업성취만족도는 협동심 및 학업열의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의 협동심이 학업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의 협동심이 학업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업열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기 청소년기인 초등학교 5학년의 학업성취만족도를 고취함에 있어, 아동의 협동심 및 학업열의를 증진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the relation between coope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second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4th grade cohort, carried out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respectively.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e final analysis examined 2,331 cases, consisting of 1,163 boys (49.9%) and 1,168 girls (5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oper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Second, the effect of cooperation of fifth graders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significant on the effect of cooperation of fifth graders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promote children’s cooper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in promoting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fifth graders, early adolesce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