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19.jpg
학술저널

독거노인 가족봉사단 연계프로그램을 통한 삶의 만족도 및 우울감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M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 한울타리 한가족을 중심으로

  • 47

현대사회에서 노인 인구의 증가율은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핵가족화의 진행으로 노인들이 가족 안에서 충분한 정서적 지지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서 독거노인들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독거노인들은 흔히 빈곤, 고독, 우울, 노인학대, 사회적 관계망구축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의 단절 등 가족과의 동거 노안들보다 복잡한 형태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독거노인들의 관계단절로 인한 우울과 삶의 만족도는 일반 노인들보다 더 큰 문제가 있으며, 이 둘의 상관관계도 유의미한 결과를 가지고 있음을 문헌 고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 내 독거노인의 분포가 높은 서울 N구에 위치한 M종합사회복지관은 고령화 사회의 독거노인들의 이러한 다양한 문제 중 지역사회 내에서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우울감이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게 되었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총 21회기에 걸쳐 지역 내 가족봉사단을 독거노인과 연계해 가족연계 활동 즉, 사회적 지지 활동을 개입하였을 때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독거노인들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한국노인우울 검사에서는 사회적 관심과 활동 저하, 인지기능 저하, 정서적 불편감, 비판적 사고 및 불행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신체적 약화 및 기력쇠퇴의 하위영역에 관한 변화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 비모수 검정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고령화 사회에서 독거노인의 수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며, 그들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사회적 관계망 구축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사료 되는 바이다.

In modern society, the rate of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had become socialized into a number of problems, and due to the progress of nuclear familyization in various forms, the elderly have not been able to receive adequate emotional support and protection, and problems have been raised f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Single elderly people were often faced with more complex forms of problems, such as poverty, loneliness, depression, elder abuse, and the severance of social relations due to difficulties in building social networks. In particular,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life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average elder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had a meaningful result. M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Nowon- gu, Seoul, where there were many elderly si ngle residents in the area, h ad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support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which has an impact on the depression and well- being of the elderly single residents. From 2018 to 2019, when a total of 21 family volunteering sessions in the community, working from the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Intervened in social support activities, with the elderly,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living of the elderly single-person was measured through prior and post-examina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interest and activity,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inconvenience, critical thinking and unhappines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lower areas of phys ical weakness and depression wasn t changed significantly. Also,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non - parametor test corresponding sample T-test i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pers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due to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an aging society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an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an alternative for the mitigation of their depression, the advance of satisfaction of life, the establishment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