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25.jpg
KCI등재 학술저널

音韻學的 理論에 根據한 唐詩 旋律 復原 方法 硏究

知識의 融合과 運用: 旋律의 音程을 중심으로

  • 12

본문에서는 唐詩 2곡 李白의 ≪靜夜思≫와 白居易의 ≪賦得古原草送別≫을 중심으로 그 旋律의 音程을 音韻學의 내용을 통해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 唐詩를 음악으로 작곡한 작품처럼 작곡가의 개인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작곡된 것이 아닌, 詩 그 자체가 歌詞이자 樂譜의 형식을 지녔음을 밝힌 것이다. 이는 곧 詩와 歌를 구분하는 데 있어서 ‘음악에 들어간다면 歌이고, 음악에 들어가지 않는다면 詩이다’라는 주장과 같다. 詩의 구절을 글자 그대로 읽는다면 가사(詩)가 되고, 여기에 그 글자들이 지닌 음악적인 요소를 더하여 부르게 된다면 노래(歌)가 된다는 것이다. 본문에서 제시한 旋律을 音程은 도출하는 방법은 唐詩의 旋律을 復原 方法의 일부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平仄과 리듬(節拍)의 관계, 聲調(平上去入)의 역할, 和聲의 진행 방법 등 다양한 내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필자는 향후의 연구를 통해 音韻學的 理論에 根據하여 唐詩의 旋律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本文認爲,被認爲是排除了音樂,以及作爲歌詞槪念的文學作品的唐詩裏存在樂譜的形態,并可以通過韻書與韻圖重構這種樂譜。因此,提出了通過韻書與韻圖裏收錄的36字母(聲紐),以及五音和七音的關係來復原唐詩旋律的方法。 本文所提出的方法不是以另外的理論爲基礎來創作新的旋律,而是以詩中所使用的字的字音爲中心來解讀隱藏於詩裏的樂譜的方法。首先,根據韻書(≪廣韻≫)和韻圖(≪七音略≫)中所收錄的内容整理有關研究現狀,并結合音樂理論探討與音樂的關聯性。其次,提出了通過聲紐與五音和七音的關係將詩中所用文字轉換成旋律音程的方法。最後,選定了2首唐詩的五言詩≪靜夜思≫與≪賦得古原草送別≫說明復原旋律的具體方法。 通過本文所提出的方法可以復原出唐詩的旋律,這不同於以往認爲唐詩與音樂無關的一般認識。不僅表明了唐詩與音樂有關聯性,還說明了創作屬於音樂槪念的詩歌時使用韻書與韻圖的方法。因此,筆者認爲通過本文可以重新定義韻書與韻圖的槪念,開擴新的研究領域。除了音韻學方面,還可以以結合文學與音樂的觀點來研究詩歌,并期待能爲古樂器演奏者和音樂專業人士提供新的研究題材。

Ⅰ. 서론

Ⅱ. 音韻學과 音樂에 반영된 五音과 七音

Ⅲ. 音韻學的요소를 통한 旋律復原方法

Ⅳ. 唐詩의 旋律音程復原方法例示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