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25.jpg
KCI등재 학술저널

王念孫《群經古韻譜》운례 연구

《易》、《大戴禮》、《禮記》를 제외한 나머지 비운문체 경전의 예에서

  • 4

청대고음학자들은 고음 연구에서 운문 외에도 군경 즉 비운문체에 보이는 운례를 귀중한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王念孫이《古韻譜》에서는 21부를 주장하였으나 후에 冬部 독립을 인정한 점을 재조명하고자《群經古韻譜》의 운례 분석을 통해 冬部 독립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王念孫의《古韻譜》군경 부분의 압운 현상을 근거로 고음을 22부로 분석하였다. 운례의 운용 면에서 압운자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바로잡았다.

In addition to rhymes in high-pitched studies, Qingdao scholars make rhymes seen in Qunjing, a valuable subject of study. In order to re-examine the fact that 冬部 claimed 21 in GuYunpu, but later recognized 冬部 independence, the basis for 冬部 independence was presented through QunjingGuYunpu s precedent analysis. Based on the GuYun phenomenon in the Qunjing part of GuYunpu, the high note was analyzed as 22.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Yunli, the parts that need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Yayunzi were corrected. 清代古音學者在研究古音時,除了韻文以外,還把群經即非韻文體中出現的韻例當作寶貴的研究對象。無論是詩和散文同時出現,還是散文在詩之後出現,在詩本身具備韻文體系之前階段,詩和散文在形式上相對無法區分,因此在中國古代文獻中散文裏也會出現押韻現象。 王念孫的《古韻譜》裏收錄了《詩經》、群經、《楚辭》的韻例。韻例主要出現在韻文,但在先秦時期群經中也不難找到。由於清代古音學者以研究方法重視韻例,群經中的韻例是研究先秦時期古音的珍貴資料。 王念孫在《古韻譜》主張二十一部,但後來重新審視冬部獨立這一點,通過分析群經韻例,提出了冬部獨立。本稿根據王念孫的《古韻譜》群經部分的押韻現象,將古音分析爲二十二部。從《群經古韻譜》中獨立出來冬部,再編成二十二部。這研究結果與王念孫最終主張的二十二部相合乎邏輯。由此與《合韻譜》中主張的二十二部一致,王念孫最終認可的冬部從東部獨立出來,命名爲《群經古韻譜》第二冬部。

Ⅰ. 서론

Ⅱ. 王念孫《群經古韻譜》운례 분석 - 《易》、《大戴禮》、《禮記》제외한 나머지 비운문체 경전의 예에서

Ⅲ.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