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토기 연구 - 생산, 유통, 소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Bronze Age Red Burnished Pottery in Central Korea - Focusing 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 455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토기는 각 지역별 분포 기종과 시간에 따른 변천과정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무문토기와 다른 형태적 특징과 제작기법으로 인해 의례용 토기로 해석되어 왔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 성과에 더해 적색마연토기의 출토양상을 지역별로 비교함으로써 적색마연토기가 각 지역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 유통, 소비되었으며, 이러한 차이에 반영된 적색마연토기의 사회적 역할 및 성격이 복합적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부지역을 남한강 유역, 아산만 지역, 금강 상류 및 중하류역으로 세분하여 출토 기종 및 비율, 형태적 유사성, 출토확률을 비교하였고, 지역 내 교류양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pXRF를 활용하여 적색마연토기의 성분분석을 시도하였다. 출토양상과 성분분석 결과를 종합한 결과, 아산만과 금강 중하류역의 경우 대형 취락이나 중심 취락에서 적색마연토기의 집중 소비가 이루어지며 지역권 내에서 적색마연토기의 유통 및 소비 관습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남한강 유역은 적색마연토기의 유적별 자체 생산이 이루어지나 지역 내에서 적색마연토기의 형태와 사용에 대한 공유된 인식이 존재하며, 적색마연토기가 사회적 공동체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강 상류의 경우 위의 지역들과 달리 적색마연토기가 일부 유적에서 한정적으로 소비되어 적색마연토기 집중 분포 지역의 외곽에 위치한 것으로 파악된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several aspects of Red Burnished Pottery (RBP) by region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i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ystems, as well as to investigate interaction among local groups. By comparing selected proxy, such as the number of stylistic groups and their quantities, their relative frequencies, ubiqu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y RBP was consumed in the following sub-regions: the Namhangang River basin, the Asanman Bay area, and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Additionally, a provenance analysis of RBP was conducted using pXRF on samples discovered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The results showed that RBP had been produced and consumed mainly within sites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RBP were interpreted as relating to the unique social role of RBP in each area.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RBP played a specific role in mediating between local groups and was used as a risk mitigation strategy. On the other hand, in the Asan Bay area and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there may have been less demand for maintaining regional connection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RBP.

Ⅰ. 서론

Ⅱ. 적색마연토기의 지역별 출토양상

Ⅲ. 토기 성분분석을 통해 본 남한강 유역 적색마연 토기의 교류양상

Ⅵ. 지역별 출토양상과 성분분석 결과의 종합적 해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