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81.jpg
KCI등재 학술저널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of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 35

본 연구의 목적은 LQH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가지 요인인 자모지식, 음운인식 및 처리, 형태론, 어휘력을 기반으로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잠재집단유형을 구분하여 각 잠재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잠재집단 모형이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모든 언어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과제 수행능력을 보였던 ‘집단 3: 언어능력 우수집단’, 평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평균 이하 또는 평균 이상의 수행수준을 보인 ‘집단 2: 언어능력 혼합집단’, 모든 언어 과제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수행 능력을 보인 ‘집단 1: 언어능력 하위집단’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아동이 평균 수준의 언어 과제 수행능력을 보였지만, 초성탈락, 사물명명-속도, 수용 및 표현 어휘력에서 평균 이하의 수행 능력을 보여주었다. ‘언어능력 하위집단’의 경우 모든 언어과제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 잠재집단유형과 언어 영역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anguage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through the lens of the four language components of LQH: alphabetic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morphology, and vocabulary. Moreover,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roup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established three latent profile group models. Group 3, ‘Language Proficiency Group’, displayed relatively superior task performance in all language tasks, Group 2, ‘Language Mixed Proficiency Group’, showed distribution similar to the average with some deviation both below and above the average in certain domains, and Group 1, ‘Language Proficiency Subgroup’, featured below-average performance in all language tasks. The majority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ffectively demonstrated average language task performance, but also a below-average performance in elision, rapid naming tasks,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Notably, Group 1 had low achievements in all language tasks, and 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use of the potential profiles for exploring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