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81.jpg
KCI등재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12-2021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acticum: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from 2012 to 2021

  • 43

본 연구는 국내의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과 관련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국회전자도서관’에서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KCI에 등재된 학술지 30권을 중심으로 게재된 총 101편을 선정하여 연구발표현황, 연구주제어 경향, 연구방법론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발표시기는 2012년 이후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2014년이 가장 활발하였다. 게재된 학술지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가 가장 비중이 높았다. 둘째, 주제어는 예비유아교사와수업실습과 관련된 주제어가 총 375개 중 324개(86.4%)로 가장 많았으며, 주제어 경향은 예비교사, 수업실습, 지도교사, 연구방법, 프로그램, 교사교육제도와 기관, 실습지도교수, 교육관과 가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4학년이 가장 많았고 예비유아교사, 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 문헌, 원장 순으로 연구되었다. 연구유형은 심층면담, 설문지법, 저널쓰기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양적 자료분석은 t검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예비유아교사의 사회맥락적특성을 고려한 실습지도교사, 연구방법, 프로그램, 교사교육제도와 기관, 실습지도교수, 교육관과 가치 등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과 관련한 연구들이 궁극적으로 실습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실무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실습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실습제도를 개선하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nalyzed recent domestic research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practicum. 101 articles published across 30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the KCI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and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were selected.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presentation status, topics and subjects, and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tudies on the practicum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12, reaching a peak in 2014. Second, keyword trends indicated that 324 of 375 keywords (86.4% of the total) were relat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lass practice.’ Third, methodology trend showed that participants generally focused on seniors in 4-year universities, follow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upervisors, university facilitators, literature, and director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methods performed was in-depth interviews, followed by questionnaire surveys and journal writings. T-tests were used most often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seeking ways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ompetence through practicum and develop efficient practicum guidelin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