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82.jpg
KCI등재 학술저널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I and Thou of Martin Buber

  • 49

마르틴 부버는 「나와 너」에서 두 개의 근원어, 즉 ‘나-그것’과 ‘나-너’를 통하여 어떤 삶이 올바른 삶인가 하는 문제에 답한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인간은 존재의 한계로 말미암아 모든 대상을 ‘그것’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지만, 진정한 관계와 만남은 대상을 ‘너’로 바라볼 때 비로소 가능하다. 부버 사상의 기반이 되는 하시디즘의 핵심은 일상의 모든 것을 성스럽게 하는 것으로서, 이 점을 염두에 두면 부버는 우리 주변의 모든 것에 신이 내재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와 너」에서 ‘타고난 너’와 ‘영원한 너’의 개념은 신이 모든 것에 ‘내재’할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초월’한다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두 가지 개념을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그의 사상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역시 다르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artin Buber discusses about two primary words in his book I and Thou. Two primary words are ‘I-It’ and ‘I-Thou’. He answered the question about good life through these two words. According to his argument, we see everything as ‘it’ because of our limitation as human beings. But a true relationship and meeting can be possible when we see everything as ‘thou’. Hasidism is the basis of Buber’s theory. Hasidism’s core idea is that we should make everything in our life holy. According to this, Buber insists that God exists in everything in the world. However, in I and Thou, there are two concepts: ‘inborn thou’ and ‘eternal thou’. These two concepts show that God is immanent in everything and transcend to everything at the same time. How we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his theory depends on how we interpret these two concepts.

Ⅰ. 서론

Ⅱ. ‘나-그것’과 ‘나-너’

Ⅲ. ‘타고난 너’와 ‘영원한 너’: 신의 내재-초월 문제

Ⅳ. 결론: 교육에의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