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82.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The Role of the Philosopher-King in the State

  • 38

「국가론」에서 ‘철학자-군주’는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나타낸다. 이 주장의 근거는 철학자가, ‘좋은 것의 형식’이라는, 이 세상 전체를 포괄하는 절대적 기준을 갖춘 사람이라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것의 형식’이라는 주장은이 세상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며, 혹시 그런 것이 있다고 해도 알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을 가한다. 그러나 플라톤이 ‘좋은 것의 형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드는 세 개의 비유—태양, 선분, 동굴—는 ‘좋은 것의 형식’이 교육을 받은 결과 가지게 되는 마음임을 보여준다. 메타프락시스는 심성함양을 설명하는 담론 형식으로서, 중층구조, 순환론, 당사자적 자세라는 세 가지 의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중층구조와 순환론은 ‘좋은 것의 형식’과 같은 절대적 기준이 현상 세계와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무관한 것도 아니라는 것, 뿐만 아니라 교육, 정치, 종교의 ‘매체’를 통하여 그 절대적 기준을 갖추게 된다는 것을 이성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에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된다. 특히 「국가론」에서의 ‘철저히 정의로운 사람’이나 메타프락시스의 ‘당사자적 자세’는 올바르게 교육받은 사람, 참된 정치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리하여 「국가론」과 메타프락시스는 교육과 정치의 목적, 그리고 그 양자의 관계, 나아가 우리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In The Republic, the ‘philosopher-king’ represents the concept that the ‘philosopher’ should be the ruler. The philosopher is a person who has the knowledge of the absolute standard that rules the whole world, ‘the Form of the Good’. Aristoteles criticizes the Form of the Good since it asserts that it exists beyond this world, and that even if there is such a thing, it is not possible to know. However, Plato shows through the three consecutive metaphors—the Sun, the Line, and the Cave—that the Form of Good is only in the mind of well-educated philosopher. Metapraxis is a form of discourse that explains the cultivation of the mind by means of three semantic elements: the double-layered structure, the circularity, and the personal involvement. The elements of the double-layered structure and the circularity provide an answer to Aristotle s criticism by maintaining that the Form of Good is not the same kind of standard as those of the world of phenomena, but it is also not irrelevant. The element of the personal involvement of Metapraxis defines the attitude of a properly educated person and a true politician. Thus, The Republic turns our eyes to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poli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Ⅰ. 서론

Ⅱ. ‘좋은 것의 형식’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Ⅲ. ‘좋은 것의 형식’에 관한 세 개의 비유와 메타프락시스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