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중년 기혼여성의 만성질환 친정모 돌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s of “New Mid-life” Married Women Who Care for Their Mothers with Chronic Disease
- 이지수(Jisoo Lee) 조은숙(Eunsuk Cho)
- 한국가족치료학회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제3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3
- 93 - 117 (25 pages)
본 연구는 신중년 기혼여성의 만성질환 친정모 돌봄 경험을 원가족 경험과 코호트 경험에 주안점을 두고 내러티브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독특성과 맥락성, 시공간성이 중시되는 내러티브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성질환 친정모 돌봄의 일차적 책임 역할을 하고 있는 3명의 중년 기혼여성이었으며 2021년 7월부터 10월까지 참여자당 3∼4회에 걸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 절차는 Clandinin과 Connelly(2007)의 지침을 따랐다.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는 신중년 여성들의 원가족 경험과 코호트 경험이 질환을 가진 친정모 돌봄의 다양한 측면에서 자원 혹은 스트레서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은 친정모를 돌보는 딸로서의 자신의 역할에 적극적 의미부여를 해나감으로써 현실에 대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부모 돌봄을 경험하는 가족을 위한 임상적 개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arratives of new mid-life married women providing elderly care to their mothers with chronic illness in South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iddle-aged married women providing care to their mothers having chronic illness. Data were gathered through 3-4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during July to October, 2021.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procedures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4). Results: Participants’ experiences of family of origin when mingled with their cohort experiences act as resources or stressors in their care experiences.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the middle-aged daughters who are providing elderly care for their mother, in the context of family of origin and cohort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sources for clinical intervention for daughters experiencing elderly care for their parents.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