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교사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 틀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교사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여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과 교육 실천 양상을 탐색하였다. 잠재집단분석(LCA)을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한국 교사들은 교육적 신념과 실천 양상에 따라 각각 3개의 잠재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교육적 신념에 따라서는 과학적 진리를 체계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자형(19%), 우리 사회의 인재를 길러내고자 애쓰는 소명형(35%), 학생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조력형(46%)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교육 실천 양상에 있어서는 다채롭게 수업을 준비하고 수업 시간이나 학급 규칙 등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집단(35%)과 경험 많은 교사에게 자문을 구하며 교수학습계획안에 따라 매뉴얼대로 실천하는 집단(28%), 학생입장에서 우선하여 고민하며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집단(37%)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더불어 우리는 교육적 신념에 따라 실천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범형 교사는 매뉴얼대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소명형과 조력형 교사는 학생입장에서나 다채롭게 실천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보다는 고등학교 교사인 경우와 여교사보다는 남교사인 경우 다채롭게보다는 매뉴얼대로 실천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경력이 높을수록 학생입장에서나 다채롭게 실천하기보다는 매뉴얼대로 실천하고 있었다. 또한, 교직과정을 이수하여 교원자격을 취득한 교사들이 교사대를 졸업한 교사들에 비해 학생입장에서보다는 매뉴얼대로 실천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교육적 신념과 실천 양상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한 우리 연구는 개별 교사의 서사를 넘어 한국 교사에 대한 님드전체적인 상을 그려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Although research evidence on teacher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ir general identity.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a conceptual framework that is able to identify teachers by focusing on their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es. For an empirical exploration, we collected online survey data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Latent class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eighteen categorical items across six domains of educational beliefs and sixteen categorical items across four domains of educational practices. Three distinct educational beliefs typologies were revealed: transmitter type, calling type, and facilitator type. In educational practices, three different typologies are also emerged: the first group that follows the manuals such as teacher’s guide and lesson plans, the second group characterized that they try to understand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and the third group that practices flexib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scertain whether educational practice typologies could be differentiated by educational belief typologies and teachers’ socio-demographic status. Beliefs typologies, school level, career and gender were predictive of group membership in certain practice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multiple identities coexist within an individual teacher undergoing a constant internal negotiation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a snapshot of Korean teachers’ identity beyond the narratives of individual teach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기존 연구 분석
Ⅲ. 연구 전략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연구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