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일본 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in Korea Related to Japanese Speci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 70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국내의 일본 특수교육 관련 연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특수교육 관련 주요 법령과 교육과정 제·개정 전후로 일본 특수교육에 관한 연구가 증가했다. 또한 일본의 특수교육 관련 법령의 개정, 특별지원교육 체제 전환 등 특수교육 관련 동향의 큰 변화 역시 국내연구의 관심을 불러 모았다. 둘째, 국내연구는 일본을 다른 서구 국가와 함께 ‘선진국’으로 범주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일부 연구는 이와 달리 아시아 블록의 연대와 공통과제를 논의하기도 하였다. 셋째, 연구 주제가 전반적, 거시적, 공식적 측면에서 점차 구체적, 미시적, 비공식적 측면으로 탈중앙화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요컨대, 여전히 많은 연구들이 일본을 차용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점차 이러한 관점에서 이탈하는 연구도 이루어 지고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related to Japanese special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are as follows : First,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 in Japan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and curriculum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major changes in special education-related trends, such as the revision of law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Japan and the transition to a special support education system, also attracted attention from Korea. Second, researches often categorized Japan as an advanced country along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Some researches, unlike this, discussed the solidarity and common tasks of Asian blocks.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research subject is gradually decentralized from the overall, macroscopic, and formal aspects to the specific, microscopic, and informal aspects. In short, there are still many researches that recognize Japan as a borrowing target, but some researches are gradually deviating from this point of view.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