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교사의 나이스 활용을 통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의 현 주소를 밝히는데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실태와 그들의 만족도를 반영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 중 나이스 활용 경험을 가지고 있는 112명을 대상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나이스 활용 실태에서는 50% 이상의 특수교사가 나이스를 활용하여 월 평균 1~2회 접속하여 주 평균 2~3시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스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특수학급 교사는 나이스 프로그램에 대하여 작성시간, 업무경감, 결재 간소화, 자료 관리, 접근 및 용이성 항목 등에서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 개별화교육계획의 공유, 수정, 출력 부분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나이스 활용의 보편화와 효율성 증진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ividualization education plan by utilizing the needs of special-grade teachers. Accordingly, the researchers presented measures for revitalization by reflecting the status of prepar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by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ir satisfaction. Mixed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for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112 students with experience in using NEIS were surveyed on a five-point scale based on the Likert method, and five special class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experience in using NEIS and more than 10 years of special class experience were interviewed for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ore than 50% of special class teachers use the same age on average once or twice a month and use it for an average of 2 to 3 hours a week.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NEIS was not satisfactory in the sharing, modification and outpu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compared to the survey results of the students who repli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eparation time, work mitigation, simplified approval, data management, access and ease of use of the program. Thir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NEIS included legal mandates for the use of NEIS, training for the use of NEIS and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Activation Plan for the Universalization of NEIS Utilization and the Promotion of Efficiency was propo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