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의 부교재 개발 원리 탐색
The theory of Auxiliary Textbook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Focus on Korean Education in China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 제37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16.12
- 1 - 18 (18 pages)
본고는 중국 내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을 이해하고 각 대학의 교육 목적에 따른 한국어 교육 과정의 특색을 부교재로 반영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 한국어 교육에 있어 부교재 사용의 필요성 및 원인을 분석하여 이를 개발하는 원리를 탐색하고자 한다. 부교재 사용의 원인은 바로 교재의 목적 차이, 학습 환경 차이 및 수업 차이에 있었다. 그리고 부교재 개발 원리를 한국어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였다. 또 한국어 교육 목적 및 학습 환경에 따라 각각의 요소들을 비교한 후 차이점을 밝혀 실제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모범적인 부교재를 예로 삼아 보충 자료로서의 부교재 개발 원리의 세 부 지침과 예시를 서술하였다. 본고는 부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내용의 진실성 및 실제성이며 장소나 상황에 따른 고유한 특성을 개발 원리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학습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부교재를 맞춤형으로 개발한다면 학습자들에게 더욱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접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중국 국내 각 대학들의 교육 과정에 맞춰진 부교재를 통 해 학습자들에게 보다 특화된 실용 한국어를 접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ecessity for this subject i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china there are many kinds of curriculum designs which have different target. According to the area, each university has their characteristic personnel training, i.e. the college of Tourism they teaching korean for a kind of skill or technical job. But they use korean textbook which from language schools that published in korea so can Easy to find gaps on them. In that why korean major in china teachers make auxiliary textbooks by themselves. However there is no theoretical approach to support auxiliary textbook. So in this subject i d like to take the theor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 factors which is cross curricular, adults needs, cultural heritage, cultural analysis. The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s the second language and as native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Using these four factors and combine the mark in china which is inter-disciplinary talent to build a frame for auxiliary textbook in korean education in china. As follow the frame of auxiliary textbook I exampled some point issues and designed the contents of the auxiliary book for these issues.
Ⅰ. 문제 제기
Ⅱ.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부교재의 필요성 분석
Ⅲ. 한국어 부교재 개발 원리에 대한 접근 방법
Ⅳ. 한국어 부교재 개발 원리의 상세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