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Art Therapists Experience in Response Art

  • 11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 경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미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8인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반응작업의 동기’, ‘반응작업을 통한 자기돌봄’, ‘반응작업을 통한 상호작용’, ‘반응작업 실행에서의 현실적 어려움’, ‘반응작업을 통한 치료사의 전문성 향상’으로 총 5 개의 영역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는 미술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내담자와 소통하는수단의 일환으로 반응작업을 활용하였고 치료 회기 이후 치료사인 자신을 돌보는 방법으로 반응작업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작업을 실행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었으나 미술치료사는 전문가로 기능하기 위해 반응작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고유한 정체성이 담긴 반응작업에서 미술치료사가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반응작업이 가지는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rt therapists’ response art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eight art therapist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ve domains― “motivation of response art,” “self-care through response art,” “interaction through response art,” “Practical difficulties in response art,” and “improvement in the therapist’s expertise through response art”―and 17 associated categories were derived. This means that art therapists used response art as a means of communicating with clients at clinical practice and they also chose response art as a way to take care of themselves as therapist after the session. Although there were practica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response art, it was found that the art therapist felt the need for the response art to function as an expert and was implementing 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mphasiz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response art by examining the types of experiences art therapists hav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response art in clinical practice, which shows the unique identity of individual art therapis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