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이용이 주 양육자의 장애인권감수성을 매개로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main care-giver Quality of Life us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on the mediated Effect of the Rights sensitivity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 김현숙(Kim Hyunsook) 양희택(Yang Heetaek)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 제8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03
- 35 - 63 (29 pages)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이용이 주 양육자의 장애인권감수성을 매개로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 주 양육자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발달장애인의 지속적인 증가와 제기되는 여러 가지 특성의 노출에 따라 주 양육자 삶의 질은 더욱 어려워져가고 있는 최근의 실정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삶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양육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주 양육자의 삶의 질도 중요하기에 이들의 삶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분석 결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이용이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 성과 부분과 장애인권감수성에서는 상황지각능력과, 결과지각능력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학습 성과와 책임지각능력이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발달장애인을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하고 사생활 보호 등 인권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복지정책의 필요성과 주 양육자를 위한 주기적인 교육서비스의 제공, 주 양육자가 만족할 수 있는 건강의 유지를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복지정책의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rimary caregivers a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s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primary caregivers. As the number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inues to increase, the life of the main caregiv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decreasing, and although lif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mportant, it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ain caregivers, as well as situational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independent personalities, strengthen human rights such as privacy protection, provide periodic educational services for main caregivers, and introduce welfare policies to provid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