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742.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도 가신(家神)의 체계와 의미

House Spirits’s System and Meaning in Jeju Island

DOI : 10.22274/KORALIT.2022.64.005
  • 136

이 글은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문전본풀이>가 성주풀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행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성주풀이는 새로운 집을 짓거나 증축하였을 때 이를 위해 행하는 의례의 하나이다. 제주도 성주풀이에서 성주신에 대한 본풀이는 축소되어 불리는 반면 <문전본풀이>는 반드시 불린다. <문전본풀이>가 각도비념을 위한 것인지, 성주신에 대한 본풀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성주풀이에서 <문전본풀이>가 불리는 이유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였다. <문전본풀이>가 의례에서 연행된 자료가 아닌 본풀이 텍스트만으로 논의되기에 이러한 문제에 대한 논의가 진척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이 글에서는 실제 성주풀이에서 연행된 오춘옥본 <문전본풀이>를 통하여 <문전본풀이>의 특징과 성조무가와의 관계 양상을 살폈다. 오춘옥본이 다른 <문전본풀이>와 갖는 동일성과 특색을 먼저 살폈다. 이후, <문전본풀이>의 인물들이 가신으로 좌정하는 노정기를 인물과 공간의 균형 관계로 파악하여 균형의 의미가 무엇이고, 인물의 대립에 의해서 가신의 성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명하였다. 오춘옥본 <문전본풀이>에는 1세대, 2세대의 양과 음의 대립이 나타나고, 2세대의 대립이 장소를 이동하면서 변화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성조무가와 <문전본풀이>를 비교한 결과 성조무가가 축소되고 대신 놀이의 한 형태인 ‘강테공수목수’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강테공수목수’는 ‘놀이-풀이’의 관련성에 의해서 새롭게 탄생된 제차로 제주도 의례의 특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문전본풀이>의 텍스트 구조 분석을 통하여 성주풀이의 기능과 함의, 타 지역 무가와의 관련성, 현장 자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토대로 제주도 본풀이와 의례에 대한 탐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ole of Munjeonbonpuri in Sungjupuri in the Jeju Island. An important reason why contemporary studies have not investigated the non-performance of Munjeonbonpuri in Sungjupuri is their focus on the texts used in Bonpuri, rather than the performance itself.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ntire performance of a version of Ohchunok in Munjeonbonpuri to reveal Munjeonbonpuri’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with Sungjumuga. We identify the common features of this and other versions, and then the spiritual process of accepting house spirits described in Munjeonbonpuri is interpreted by balanc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ng spirits and the house. This enables defining the balance and describing the evolution of the personality of the house spirits as a result of conflict with other spirits. Furthermor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ngjomuga and Munjeonbonpuri reveals that the former is reduced substantially and Munjeonbonpuri and Gangtegongsumoksu&#8212;a form of play&#8212;are included instead. Gangtegongsumoksu exhibit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Jeju’s rituals genera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puri and nori.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n-site performance of Munjeonbonpuri to reveal its functionality and implications for Sungjupuri and its contrast with shamans’ songs in other regions and ascertains the common features of Munjeonbonpuri and Sungjomuga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exts. The research is expected to expand the view of Bonpuri and traditional rituals in the Jeju Island.

1. 서론

2. 오춘옥본 <문전본풀이>의 특징

3. 인물과 공간의 균형 관계

4. 성조무가와 <문전본풀이>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