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직 초년생의 직장내 괴롭힘 경험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mong Beginner Office Work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11권 제1호
-
2022.04187 - 213 (27 pages)
-
DOI : 10.20497/jwce.2022.11.1.187
- 442

본 연구는 20~35세 사무직 초년생을 대상으로 직장내 괴롭힘 실태를 파악하고, 직장내 괴롭힘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입사 3년 이내 남녀 직장인 3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한 t-검증 또는 일원변량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76.2%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직장내 괴롭힘 경험을 보고했고, 직장내 괴롭힘 경험 수준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그리고 연령과 학력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직장내 괴롭힘 경험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기자비와 사회적지지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직장내 괴롭힘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직장내 괴롭힘에 초점을 맞추고,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사무직 초년생들의 직장내 괴롭힘 실태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직장내 괴롭힘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개입의 유용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임상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orkplace bullying among beginner office workers aged 20~35, and to test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8 men and women who work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for less than 3 year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t-test or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ed that 76.2%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workplace bullying more than once a month, and the level of workplace bullying was higher among women, and for those with younger age or lower education.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was significant, while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not. This study has importance in providing data on the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by office beginners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is study also has clinical implications in proposing the usefulness of self-compassion intervention dealing with workplace bullying and the consequent social interaction anxie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