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784.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62/162784.jpg)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Differences of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eaching Skills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 제43권 제1호
- : KCI등재후보
- 2022.04
- 125 - 152 (2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교실수업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수업관찰과 학생 설문은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학생과 교사의 인식이 다른 경우 수업교사는 결과 해석에 혼란스럽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대상인 학생들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인식은 학생 배경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교사의 인식과 학생참여에의 예측력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았다. ICALT의 수업관찰도구와 학생 설문지(MTQ)를 사용하였다. 이 두 도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6영역 및 학생참여 영역 등 총 7개 영역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2016년도 대전 충북 충남 지역 소재 중학교에서 수업관찰 전문교사가 106개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이 수업에 참여한 2866명의 학생이 설문에 응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관한 인식은 대체로 높았으나 학생의 배경변인별로 다른 성향을 보였다. 학생들의 인식은 주요교과목을 배울 때, 또 학년이 낮을수록 수업전문성을 더 높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학생들은 수업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영역에서 수업전문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학생의 학생참여에의 예측력은 수업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영역에서 교사의 예측력보다 높았다. 향후 예비교사와 교사를 위해 학생설문자료를 어떻게 연수에 적용할 수 있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eaching skills. For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by ICALT(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and Teaching) class observation tool and students survey called My Teacher Questionnaire. a student survey. The data of teachers and students can be compared because as the two tools have seven common domains(Safe and stimulating learning climate, Efficient organization, Clear and structured instructions, Intensive and activating teaching, Adjusting instructions and learner processing to inter-learner differences,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Learner engagement). In 2016, in Daejeon, Chungbuk and Chungnam. trained teachers collected data from 106 classes, and 2,866 students responded the surve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wo tools, class observation and MTQ(My Teacher Questionnaire) are proven to be satisfactory for use in Korean schools. Students perception on teaching was high, particularly when students are in lower grades and learning major subjects like English, Korean, and math. The domain of higher teaching skills, male students show higher perceptions while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erceptions on lower-level teaching skill domain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predictive reliability of students engagement against teaching skill domains was used. Teachers showed higher predictive reliability on lower teaching skill domains while students showed higher predictive reliability on higher teaching skill domains. It is recommended for further study to develop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using a teacher class observation tool and the My Teacher Questionnaire for pre-service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