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3113.jpg
KCI등재 학술저널

<채생기우(蔡生奇遇)>와 <장수과전(張守果傳)>의 비교 -인물과 작가의식을 중심으로-

Ways to Survive in the Age of Capital and Desire -A study of Chaesaenggiwoo(蔡生奇遇) and Jangsugwajeon(張守果傳)-

  • 45

<채생기우>의 김령과 <장수과전>의 류순정이 비상한 두뇌로 단계적인 설득 전략을 통해 몰락 양반을 좌지우지하는 양상은, 중세시대에 중시되었던 체면과 윤리가 더 이상 그 힘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생존 능력으로 합리성과 설득력이 대두했음을 보여준다. 김령의 경우 딸의 안위를 위해 비밀리에 일을 진행하고, 류순정의 경우 공권력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며 그의 사기에 많은 이들이 공조하게 한다. 이들은 변화하는 시대에 완고하게 과거의 규범을 고수하거나 욕망을 비이성적으로 추구하는 자들을 비판하는 주체로서 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선악과 하늘의 규범을 넘어 변화하는 자본과 욕망의 시대에 적응한 새로운 주인공으로 형상화된다.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작가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당시는 신분제가 흔들리고 자본과 욕망이 중세의 체면과 윤리 가치를 흔드는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된 시기에 작가 이현기는 여러 전형적 인물상을 통해 욕망의 긍정과 이성적 사고를 강조하고 자유와 행복을 제약하는 규범을 비판하며 상호교환으로 변화된 인간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The cases of Kim Ryeong in Chaesaenggiwoo and Ryu Soon Jeong in Jangsugwajeon controlling the fallen upper class at their own will through extraordinary brains and step-by-step persuasion strategies show that decency and ethics,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Middle Ages, no longer have their power and that rationality and persuasiveness have emerged as the abilities necessary for survival in the new era. In the case of Kim Ryeong, he works secretly for the safety of his daughter, and in the case of Ryu Soon Jeong, he puts the public power on his side to involve many people to cooperate in the scheme. In an era of changes, they play their role as critics of those who stubbornly adhere to the old norms or pursue their desires irrationally as well as being described as new types of people transcending the norms of good or bad and heaven adapted to the changing era of capital and desire. By comparing the two works, a common theme that appears in both can be found. At that time, the class system was shaken, and modern capital and desire overturned decency and ethical norms of the Middle Ages. In this changing era, artist Lee Hyun Gi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desire and reason through several typical figures and insists on reciprocal human relationship that transcends norms and institutions.

Ⅰ. 서론

Ⅱ. <채생기우>와 <장수과전>의 주인공 비교

Ⅲ. 두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