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자기실현 모호성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A Study on the Self-Realization Ambiguity of Modern Women in the View of Christian Counseling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3권 제2호
-
2022.059 - 37 (29 pages)
- 194
본 연구는 현대 여성이 모성 중심의 자기실현을 성취할 때 경험하는 모호성의 위기와 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여성은 자기와 세계의 양극에서 여성 정체성의 양면성과 심리의 모호성, 그리고 태도적 양가성의 불균형으로 여성 자기실현의 모호성과 위기를 경험한다. 그 원인에 대하여 도덕적, 심리학적, 신학적 이론의 상호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자기실현 가능성에 관하여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기독교 상담은 종교적 경험을 통하여 여성이 하나님 형상을 회복하고, 공동체 안에서 직면과 공감을 통해 개별화된 정체성의 자기 긍정성을 인식하게 돕는다. 성경의 언어적 재개념화는 자기 가치에 대한 공명으로 선함을 회복하는 심리적 자기실현을 이루게 한다.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기 믿음을 따른 태도의 선택은 자유의지를 발휘하여 책임 존재로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참 연합을 이루는 종교적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여성은 타인의 성장을 지지하는 성숙한 존재로서 삶에서 선순환의 기초를 놓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의 자기실현과 성숙한 모성적 삶을 유지하기 위한 기독교 상담학적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y of women’s self-realization achievement from a moral,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standpoint to a correlation method and examine from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Women s self-realization has the imbalance of ambiguity of identity, ambiguity of psychology, and ambivalence of attitude in the bipolarity of self-world causes ambiguity and crisis. Therefore, Christian counseling helps women to recover the image of God through religious experiences and to recognize the self-positiveness of individualized identity through the face and empathy in the community. The rational awareness of the Bible makes psychological self-realization to recover goodness with resonance of self-value. The choice of attitude following self-belief in God s grace makes us live as a responsibility existe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hristian counseling framework for women s self-realization.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