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영화 <기생충>에 대한 빅데이터 수용자 반응 연구: 청년 세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ig Data Audience Response to the Movie Parasite : Focused on Youth Generation Storytelling

본 연구는 우리 사회 청년세대 심리에 대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2019년에 제작된 영화 ‘기생충(parasite)’ 청년세대 스토리텔링에 대한 수용자들의 정서적 반응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영화 속 청년세대인 ‘기정과 기우’를 키워드로 하여 빅데이터 감성분석 방법론을 사용했다. ‘기정, 기우’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감성은 전체 1,877건의 감성요소 중 1,176건으로 62.65%의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부정적인 감성의 비율은 1,877건 중 701건으로 37.35%의 빈도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그 다음 SNS 텍스트를 인용한 감성분석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했다. 영화 <기생충>의 청년층 스토리텔링에 대한 수용자의 주된 감성 반응과 그 의미로 주된 긍정적 감성은 K 콘텐츠 호감 & 웃음 속 냉소주의였다. 주된 부정적 감성과 그 의미는 첫째, 오를 수 없는 계단: 가난 대물림에 대한 혐오감, 둘째, ‘부(富)의 神’인 돌에 짓눌림: 무거운 현실에 대한 두려움, 셋째, 살해 당한 여성 청년 기정: 여성 청년 죽음에 대한 분노, 넷째, 초라한 청춘에 대한 아픔과 이런 청춘에 대한 공감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 청년세대 심리는 경제적 양극화의 대물림 현실에 대한 냉소주의와 두려움으로 볼 수 있고 이런 청년세대에 대한 아픔과 공감의 정서도 언급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response elements of audiences to the storytelling of the young generation of the movie ‘Parasite’ produced in 2019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basic data on the psychology of the young generation in our society. To this end, the big data emotional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with the keywords of Kijung and Kiwoo . Regarding them, positive emotions were 1,176 out of a total of 1,877 emotional elements, showing a high frequency of 62.65%. The ratio of negative emotions was 701 out of 1,877, showing a 37.35% frequency ratio. Next, the results of emotional analysis citing SNS text were derived as follows. The main positive emotions were favorability for K-content and cynicism in laughter. The main negative sensibilities were first, disgust for the inheritance of poverty, second, fear of heavy reality, third, anger for the death of a female youth, and empathy for the shabby youth.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빅데이터 분석결과

V. 감성분석의 결과

VI.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