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선별검사(CIST),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2판(K-MMSE~2) 및 임상치매척도(CDR)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nd Edition (K-MMSE~2) an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of Patients with Stroke
- 황도연(Hwang, Do-Yeon) 류성현(Ryu, Sung-Hyun) 권기현(Kwon, Ki-Hyun) 최초롱(Choi, Cho-Rong) 김수아(Kim, Soo-A)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1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5
- 53 - 62 (10 pages)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기능 평가 도구 간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에서 평가 도구를 선정하거나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병원 등 의료기관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도구는 인지선별검사(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2판(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nd Edition: K-MMSE~2)과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를 사용하였다. 평가 도구 점수 간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전체 CDR 점수에 따른 CIST와 K-MMSE~2의 총점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CIST와 K-MMSE~2의 총점 및 전체 CDR 점수 간 상관관계는 CIST와 K-MMSE~2(ρ=.956), CIST와 CDR(ρ=-.957), K-MMSE~2와 CDR(ρ=-.971)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CIST와 K-MMSE~2의 하위영역별 점수 간 상관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전체 CDR 점수에 따른 CIST와 K-MMSE~2의 총점 비교는 모든 전체 CDR 점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CIST, K-MMSE~2 및 CDR 간에 상관성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다른 대상자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병원 등의 임상에서 인지기능 평가 도구를 선정 또는 사용함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basic data that could help in selecting or using evaluation tools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51 patients with stroke. The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nd Edition (K-MMSE~2), an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The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tool scores was analyzed us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comparison of total scores between the CIST and K-MMSE~2 according to global CDR scores was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CIST and K-MMSE~2 scores and global CDR sco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scores of the CIST and K-MMSE~2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for all sub-scores (p<.01). The comparison of total scores between the CIST and K-MMSE~2 according to global CDR scor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global CDR score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IST, K-MMSE~2, and CDR in patients with stroke.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select or us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ools in clinical setting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