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COVID-19 팬데믹으로 폐업한 여성 자영업자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rt Therapy to Lower Stress and Increase Resilience of a Self-employed Woman Who closed at Business Due to COVID-19 Pandemic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폐업한 여성 자영업자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을 개선하고자 미술치료를 적용하고 그 효과와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영악화로 사업체를 폐업하고 실직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는 여성 자영업자 한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미술치료는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2회 60분씩 총 16회기 개인치료로 진행하였다. 효과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 지각척도․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변화를 비교하였고, 회기 내 대상자의 보고를 토대로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미술작품․치료일지․축어록 등을 분석하여 미술치료 회기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미술치료 회기별 과정에서 현재의 자신을 인식하고 수용하게 되어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개선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스트레스 지각척도에서 심리적 및 신체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개선된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복탄력성 척도에서 하위 영역별 점수들이 전반적으로 상승하여 스스로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 부분에 개선된 변화를 보였다. 넷째, 미술치료 회기 내 대상자의 보고에서 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변화된 내용들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pply art therapy and identify its effects on the stress and resilience of a self-employed woman who closed a busin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a self-employed woman who experienced the stress from the business closure due to financial difficul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selected as the subject. Art therapy was then delivered 16 times for 60 minutes per session from March to June 2021. To identify the effects and changes,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Korean Resilience Quotient, and Person In The Rain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sessions. Based on the reports from the subject, changes in stress and resilience were analyzed, and art works, therapy daily log, verbatim record were analyzed to examine changes presented in each therapy ses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as obtained: (1) During the therapy sessions, the subject recognized and accepted the present, showing reduced stress and increased resilience. (2) According to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the subjec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lessened. (3) An improvement in subject’s indenpendent ability to overcome the difficulty was shown through an increased score for the Resilience Quotient. (4) Stress and resilience were improved in the process of each art therapy s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then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