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의 대화’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 이승근(Lee, Seung Keun) 권정혜(Kwon, Jung-Hye)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1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4
- 99 - 114 (16 pages)
본 연구에서는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인 ‘아이와의 대화(How to talk so kids will listen)’를 번안, 수정하여 실시하였다.‘아이와의 대화’프로그램은 Ginott의 부모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부모의 정서를 표현하고 아이를 공감하는 과정을 통해 협력적인 부모-자녀 관계를 맺고자하는 프로그램이다. 아이의 정서발달에 중요한 시기가 유아기이며, 이때 부모가 미치는 영향이 큰 점을 고려하여, 짧은 기간임에도 프로그램으로 인한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였다. 연구대상은 5세에서 7세에 해당하는 유치원생, 부모 22쌍과 담당 선생님이었다. 서울시 S구 내 유치원의 부모, 아동 그리고 선생님에게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부모는 자신의 정서표현성, 유아는 자기의 행복감, 선생님은 아이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사전-사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How to talk so kids will Listen: HTKL' Program for Korean parents and children. HTKL program is based on Haim Ginott's person-centered parent educa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acknowledge children' emotions and to talk about them. In this way, parents can help children socialize their emotions. With socialization of emotion, kids can develop their emotional competence and their social competence. Subjects were 5~7 age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kindergarten in S-gu Seoul. There were 65 participant in pre-assessment but in post-assessment the number of people left were 22 participant. We assessed parent's emotional expressivity with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The teacher of kindergarten were asked to check children' friendshipness-competences. And children were assessed their feeling of happiness by researchers who were trained. The HTKL program was 6 session program and held once a week. In program, parents learned specific skills to acknowledge children' feelings, to talk about it and to cooperate with their children.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mother's negative self-expressivene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