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그림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that group play therapy that utilizes fairy tales has on the self-concep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29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를 실시하여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한 D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 담당 지도교사가 의뢰하고, 아동용 자아개념 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만 6세-7세 아동 2명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회기 내 놀이상황에서 놀이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자기인식 및 이해, 학업에 대한 이해와 수용, 가족과 타인에 대한 인식 및 수용, 긍정적 지지 관계 경험 및 자아개념 확립을 목표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1회기 60분, 총 12회기로 실시하였다. 매 회기는 이완활동(15분), 구조화활동(35분), 토론활동(10분)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켰으며, 동화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회기 내 놀이상황에서 놀이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elf-conception of children of culticultural families by implementing group play therapy that utilizes fairy ta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 children asked by a guidance teacher among those who use C region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A city in Kyung Sang Buk Do, and aged 6~7 who received low score in the self-conception test for children’s u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rst, whether group play therapy that utilizes fairy tales influence on self-concep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cond, whether group play therapy that utilizes fairy tales influence on changes of playing activities in the situation of free playing in the cen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2 terms a week, 60 minutes for each term, being totally 12 terms, and each term consisted of relaxation activity(15 min), structuralization activity(35 min), and discussion activity(10 min). To learn about the effect that group play therapy that utilizes fairy tales has on the self-concep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 had children have the self-conception test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filmed the free play situation dividing it to single play activity and group play activity, and measured frequencies of each term according to play activity observation recor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