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아동상담 과정에서 어머니와 아동의 관계 체험의 의미

어머니의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상담 과정에서 어머니가 체험하는 아동과의 관계 변화는 무엇인지, 어떤 의미를 찾아가는지 어머니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명의 어머니를 인터뷰하고 질적 연구 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은 아동과의 관계에서 비틀어진 관계로 상담을 시작하였음을 깨달았고, 상담을 통해 일 대 일 대응의 관계를 상정함으로써 거리 좁히기를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어머니들은 아동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이나 자연스럽지는 않았다. 그러나 아동의 퇴행을 통해 어머니는 일체감을 느끼게 되고, 아동과 친밀감을 되찾게 되었다. 그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상담에서 어머니와 아동의 관계 체험의 의미를 2가지로 해석하였다. 첫째, 어머니들은 아동과의 관계 체험에서 본래적 마음을 발견하게 되었고, 둘째, 어머니는 아동과 함께 되어감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mother's lived-experiences by understanding the lived-experiences of mother-child relation in child counseling. For that purpose,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Five mothers who were interviewed in depth on their experienced in child counseling.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ir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include "distorted", "one-on-one"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uncomfortable", "a sense of unity" and "intimac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interpreted two meanings discovered in the mother-child relation. Mothers discover their "innate minds" forgotten for long. Going through those lived- experienc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are "becoming together".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