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자폐장애 학생의 자기결정기술 교수에 대한 한국과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비교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장애 학생의 자기결정기술 교수에 대한 한국과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한국 특수교사 191명과 중국 특수교사 205명을 편의군집 표집하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두 독립표본 t검증, 카이제곱 검증, 백분율, 빈도를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특수교사가 중국 특수교사에 비해 자기결정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둘째, 자기결정기술 교수의 시작 시기에 대한 한국 특수교사와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없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초등학교 때부터 자폐장애 학생에게 자기결정기술을 교수하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중국 특수교사가 한국 특수교사에 비해 자기결정기술을 더 자주 교수한다고 보고하였다. 정기적으로 자기결정기술을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교사는 거의 없었으며, 자기결정기술 교수실행 상황에 대한 한국 특수교사와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한국 특수교사는 교수자료로 인터넷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중국 특수교사는 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자폐장애 학생에게 자기결정기술을 교수하는데 있어서 한국 특수교사는 자폐장애의 특성을 가장 심각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중국 특수교사는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부족을 가장 심각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자폐장애 학생에게 자기결정기술을 교수하는데 있어서 한국 특수교사와 중국 특수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가족과의 협력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between Korea and China. One hundred ninety one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wo-hundred five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sent by mail.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x² were implemen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than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Korean teachers and Chinese teachers regarding when to begin to teach self-determination skills to students with autism; (3)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taught self-determination skills to students with autism more than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While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autism as the most serious barrier,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the collaboration with families of students with autism as the most serious barrier; (5) Both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collaboration with families of students with autism as the most important suppor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