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COVID-19 격리경험이 스트레스, 주관적건강, 우울증상,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이용

Effects of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on Stress,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Daily Life: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2020)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에 영향을 받은 스트레스, 주관적건강, 우울증상, 일상생활에 대하여 코로나19 격리경험 유무에 따른 비교, 연령대별 비교 그리고 격리경험과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질병관리청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통해 코로나19 격리경험, 스트레스, 주관적건강, 우울증상, 일상생활 자료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격리경험의 주효과, 연령의 주효과, 코로나19 격리경험과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를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우울증상, 일상생활은 코로나19 격리경험의 주효과, 연령과의 주효과가 유의했다. 코로나19 격리경험과 연령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스트레스, 일상생활에서 유의하였다. 코로나19 격리경험이 있는 경우 격리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모든 결과에서 나쁨을 보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밝혀진 바로는 격리경험이 있는 70대 이상은 다른 연령보다 우울증상이 심하고, 주관적 건강이 나쁘며, 일상생활변화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코로나19 격리경험은 스트레스, 주관적건강, 우울증상,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특히, 격리경험이 있는 70대 이상 고령자는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코로나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고려한 일상생활 회복을 위한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age group comparison, quarantine experience and age on stress,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daily life affected by the COVID-19. It was implemented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pandemic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strategy to prepare for the post-corona. Methods : The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stress,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daily lif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raw data. The main effect of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the main effect of age,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and age were analyzed through two-way ANOVA.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effects of stress,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daily life of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and age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and age was significant in stress and daily life. Those who had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showed relatively worse results than those without quarantine experience. As revealed through the interaction effect, it was found that those over 70 years of age who had experience of quarantine had more severe depressive symptoms, poor subjective health, and greater changes in daily life than other age groups. Conclusion : COVID-19 quarantine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tress,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daily lif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over 70 years of age who have experienced quarantine have serious changes in their daily lif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post-corona, support measures for the recovery of daily life taking into accou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need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