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Analysis of Press Report on Elderly-friendly Foods using Text Mining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대중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령친화식품의 주제의 데이터 자료를 빅카인즈(BIGkinds)를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49개 언론사 자료를 대상으로 631건의 데이터의 자료를 전처리 및 중복기사를 제외하여 총 426건의 데이터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기사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사의 수는 2021년에 104개(24.41%), 2020년에 95(22.41%)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가중치는 우리나라(9.82)와 해양수산부(6.90)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대중적인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연구의 자료가 고령친화식품 산업의 확대와 관련분야 인프라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s reports on elderly-friendly foods using text mining and to understand the popular meaning of them. Methods : This study was data data of the subject of age-friendly food were analyzed using BIGkinds. A total of 426 data were analyzed, excluding pre-processing and duplicate articles, of 631 data from 49 media outlets. Results :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on age-friendly food is increasing. The number of articles was high in the order of 104(24.41%) in 2021 and 95(22.41%) in 2020. The weight was highest in Korea(9.82)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6.90) in that order. Conclusion :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ext mining was used to confirm the popular meaning of elderlyfriendly food.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of the elderly-friendly foods industry an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in related field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