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정서적 유대가 어려운 어머니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 과정과 의미
모자 관계를 중심으로
- 김숙경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12
- 35 - 55 (21 pages)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정서적 유대에 어려움이 있는 한 어머니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 과정과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어머니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를 하였다. 우선 부모-자녀 놀이치료 과정에서 드러난 모자 관계와 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과정을 통해 어머니는 어떤 의미를 찾아 나가게 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은 부모-자녀 놀이치료에 참여하기 시작할 당시 표현을 잘하지 못했다. 놀이세션에서 아동은 행위의 금지를 묻고, 어머니는 즉시 제한 설정 하였다. 어머니는 아동과 놀이시간이 쑥스러웠고, 슈퍼비젼을 받으면서 평상시 모습을 발견하였다. 3번의 특별 놀이시간을 보낸 후 일상에서 아동은 어머니에게 안기기 시작하였고, 어머니는 아동의 욕구를 들어주기 시작했다. 그러자 아동은 더욱 자신을 표현하고, 어머니는 아이를 진심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자 안쓰러운 마음이 생겼고, 어머니는 기존과는 다르게 대하기 시작했다. 그 가운데 어머니와 아동의 관계는 증진되었지만 동생과는 관계가 어려워지는 체험을 했다. 부모-자녀 놀이치료 체험에서 어머니가 찾게 된 의미는 자녀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어머니라는 이름을 되찾은 것이었다.
This case study aimed to understand participation process and meaning in filial therapy by a mother who had difficulty with affectional bond to her child. For that purpose,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First mother-child relationships revealed in the filial therapy process were examined along with any changes to their relationships, and then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what kind of meaning the mother would find. As a result, the child was not good at expressions at the beginning of the filial therapy. In the play sessions, when the child asked the mother about prohibition of act, she immediately set limits. The mother felt awkward while playing with her child and discovered how she was usually under supervision. It was after three special play sessions that the child started to nestle in the mother's arms and that the mother started to accept the child's demands. Once those changes happened, the child began to engage in self-expression, and the mother was able to see the child with all her heart. Then she felt sorry for her child and started to treat her child differently. While she improved her relationships with the child in the process, she experienced new found difficulty with her relationships with its younger sibling. The meanings she found in her experiences with filial therapy were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her child and her title as the mother.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