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상자 놀이의 심리치료적 요인 탐색
Exploratory study on psychotherapeutic factors of sand tray-play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1호
-
2010.0421 - 32 (12 pages)
- 17
본 연구는 모래상자 놀이가 갖고 있는 심리치료적 요인을 찾아냄으로서 심리치료사의 이론적 성향에 관계없이 모래상자 놀이를 매체로 활용하여 보다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심리치료를 할 수 있게 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1은 치료적 구성 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분석을 하는 것이며, 연구 2는 구성 요소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 1을 수행하기 위해 임상현장에서 모래상자 놀이를 실시하는 심리치료사들을 개별 면담해서 모래상자 놀이의 치료적 요인에 관해 개방형 질문을 하고 그 내용에 대해 합의적 질적 분석을 한 후 이를 근거로 80개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연구 2는 연구 1에서 작성된 80문항 설문지를 20명의 심리치료사가 내용 타당성을 검증한 후 69문항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된 설문지는 모래상자 놀이로 자기분석 또는 교육분석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배포되었고, 134명의 자료가 수집되어 분석되었다. 통계처리에서 세 개의 심리치료적 요인이 추출되었으며‘자기 탐색 및 직면’,‘정서적 안정감’,‘치료자적 기능’요인으로 요약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sychotherapeutic factors of sand tray-play, and to present more direct, effective psychotherapy by using the play as a medium, regardless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psychotherapis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phases: the first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onents by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second study was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components by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conduct the first study, psychotherapists who used sand tray-play in clinical field were personally interviewed to be asked of therapeutic factors of sand tray-play with open questions, and 80 items were produced after performing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As for the second study,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80 items were verified of their content validity by 20 psychotherapists therapists role and the items were adjusted to be 69. The adjus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ose who had experiences of having self-analysis or educational analysis with sand tray-play, and 13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be analyzed. Three psychotherapeutic factors were identified from statistical processing including‘self-exploration and confrontation’, ‘emotional stability,’and‘therapist's rol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