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
- 김정민 최은서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04
- 121 - 135 (1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과 경기 소재의 5개 중학교 1,2학년생 총 13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é 사후검증, χ2검증, 단순선형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사회불안,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수준에 따라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회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사용 수준은 높은 반면 사회적 지지와 또래관계는 낮았다. 셋째, 사회불안 수준에 따라 인터넷 사용이 사회적 지지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 중집단의 인터넷 사용은 또래관계의 정서적 안정과 도움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사회불안 상집단의 인터넷 사용은 또래관계의 갈등과 경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social anxiety,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in early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361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Chi-square 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adolescents' social anxiety,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differed by their gender. Second, early adolescents'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differed by their social anxiety levels. Adolesc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anxiety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 frequency of internet use, low social support and poor peer relationships. Third, early adolescents' internet use according to their social anxiety levels had an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Internet use of the middle-level social anxiety group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emotional stability, and help in peer relations. In contrast, internet use of the high-level social anxiety group decreased conflict and competition in peer relation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