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드게임 놀이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oard game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and adaptive behavior of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본 연구는 보드게임 놀이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 Y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습부진아 15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구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드게임 놀이 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둘째, 보드게임 놀이 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보드게임 놀이 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보드게임이 2명 이상의 그룹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기도 하지만 여러 명이 함께 게임을 하는 동안에 학습부진아들이 자발적 동기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하여 게임에 대해 집중을 유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초등학령기에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갖추고 자아실현 능력을 고취시키도록 비교적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좋아하는 놀이감을 이용한 언어적·신체적 활동이 이루어질 때 자신을 존중하고 신뢰하는 방법을 배워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oard game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and adaptive behavior of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 underachieving fifth graders who were selected from Y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test was employed. As a result, First, board game activities affected on the self-concept positively of children with educationally retarded. Second, board game activities affected on the adaptive behavior positively of children with educationally retarded. all the fifth-grade underachiev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self-concept and adaptive behavior. It showed that the board game activities were very effective at boosting the self-concept and adaptive behavior of the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To make it happen, they should be helped to be self-esteemed and pursue self-realization. One of the ways for them to value and believe in themselves is to be engaged in verbal and physical activities in permissive environments by utilizing their favorite play stuff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