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놀이치료가 산만함으로 의뢰된 아동의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 경향에 미치는 효과
- 이승희 윤호열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11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7.08
- 43 - 69 (27 pages)
본 연구는 ‘산만함’이 의뢰사유인 아동의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 성향에 가족놀이치료가 미치는 효과의 유지수준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산만함’으로 의뢰된 학령전기․학령기 아동들과 아버지가 포함된 총 11쌍의 가족이며,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개별가족에 대해 한 집단에는 경험적 가족놀이치료가, 다른 집단에는 구조화된 가족놀이치료가 총 8회기씩 진행되었다. 두 집단의 가족들은 프로그램의 진행 전․후 및 추후회기에 가족평가과제를 수행하였고, 부․모는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경향에 대해 평정하였다. 매 회기마다 3명의 관찰자들이 회기 중 나타나는 아동의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부․모의 평정결과와 관찰된 결과들은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사전․사후․추후, 집단변인을 조건으로 하여 SPSS WIN V.12를 활용한 차이검증(t-test)으로 분석되었으며, 사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 및 유지정도를 알아보았다.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경향에 대한 사후검사에서 부․모의 평정보다는 관찰자 평정에서 개선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추후회기에서 경험적 가족놀이치료 집단의 프로그램 효과유지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가족놀이치료는 아동의 관찰된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었으며, 경험적 가족놀이치료 집단의 추후회기의 관찰자 평정수준이 프로그램 종결당시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험적 가족놀이치료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유지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와 형제가 포함된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약물처치 없이 아동의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 경향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어, 향후 아버지가 포함된 가족놀이 중재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was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was executed to test the effects of Family Play Therapy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tendencie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11 families including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 preschool age or early school age with the problems of difficulties in keeping attention. In EFP group, subjects were placed in the condition of 'Experiential Family Play Therapy' program which included relax games, experiential play, and family free play and in SFP group subjects were placed in the condition of 'Structured Family Play Therapy' program which excluded the experiential play. The whole programs had 8 sessions with pre-post-session and follow-up session to get the results from parents. The whole sessions were being observed and rated by trained 3 observers on the frequencies of attention deficit, impulsivity, and hyperactivities of children in the session. Parents of each group were asked to rate their perceived levels on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ies of their children. All the rating results from parents and observers were analyzed with SPSS WIN V.12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atings of EFP group and SFP group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s after its terminating. As results, significant decreases were showed on the rating scores in the EFP group especially on the observed rating scores during session. In SFP group, the observed rating score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ll, Experiential Family Play Therapy had more improving and keeping effects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tendencies of childre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