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부적응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기관에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처치 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18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이다. 실험집단 유아(9명)에게 6주 동안 총 12회기의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관계, 그리고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 유아의 경우 교사와의 친밀감 수준이 높아지고 갈등과 의존성은 낮아졌으며, 또래관계에서 사교성․친사회성․주도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일과적응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실험집단 유아들에 대하여 개별 유아의 행동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예컨대, 수줍음이 많고 위축된 유아들의 경우 회기가 갈수록 긍정적 정서표현이 증가하고 또래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집단 치료놀이 활동은 부적응 유아의 교사 및 또래관계의 개선, 나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적응에 긍정적인 개입 효과가 있으며, 개별 유아들의 행동문제를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study carried out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5-year old children to enhance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group, and their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year old children(18)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9) and control group(9). The group Theraplay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12 sessions over 6 weeks and for 30-35 minutes for each sess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Theraplay program increased intimacy, but reduced conflict and dependency in teacher-and-child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 in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s and leadership in its peer group relationships. The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ir behavioral change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oup Theraplay program, the children with maladjustment changed to positive ways, for example, growing sense of self, establishing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enhanced sense of self-respect and cooperation with peer group.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program helps children with maladjustment enhance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group, and brings out their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group Theraplay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djustment of children with maladjustment to preschool by helping them enhance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group.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