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분노 폭발이 잦은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The case study on play therapy for child who showed frequent explosion of anger

  • 78
커버이미지 없음

아동기에 나타나는 부적절한 분노표출은 이후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정서 및 행동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분노에 대한 조기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파괴적 언어와 악을 쓰며 우는 등의 분노폭발이 잦은 초등학교 1학년 여아로, 부정적 양육경험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분노감정을 매우 강하게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무조건적 수용을 통해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아동이 놀이에서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하였다. 이와 함께 부모가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로 아동의 정서적 지지자가 되도록 돕는 부모상담을 계획하여 총 33회의 놀이치료가 진행되었다. 치료결과 아동은 분노 폭발 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자신의 감정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 친구들과 어울리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모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아동 모의 지시에 대해 이행하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치료장면에서 아동의 좌절과 분노, 성추행 부분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상황적 제약으로 인해 부모의 개인 심리상담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제한점으로 남았다.

Immediate intervention is strongly recommended to treat one's anger in that inappropriate expression of anger in early ages causes bo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later stages. The subject was the first grade, female girl who showed frequent explosion of anger such as destructive verbal expression, and crying. The fundamental factor causing her ill feeling of anger to her parents was her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in early stage. Based on this diagnosis, the sessions focused on helping her form reliable relationship with her parents, alleviate her negative emotion affected by prior parenting experience, and express anger appropriately. In addition, it was parent-counseling for 33 sessions that was organized to guide her parents to be her emotional supporters. Its main goal was to educate parents to have consistent parenting style to their child. Throughout the sessions, the frequency of explosion of anger was rapidly reduced, and the frequency of playing with peers and the degree of verbal expression of her emotion was increased. She also built positive image with her mother so as to obey her parents' guidelin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case was that her emotional conflict from sexual abuse, and her frustration and anger during play therapy were not deeply dealt, and individual counseling with parents was impossible due to external restric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