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 조망 수용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 심혜원 김은진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6.06
- 101 - 116 (16 pages)
본 연구는 조망 수용 능력이 부족하고 집단에서 적응이 어려워 친사회적 행동을 하는데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타인 의도, 사고, 감정 조망 향상을 목적으로 한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조망 수용 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D대학교 집단 놀이치료실로 의뢰된 아동 중 자기보고식 또래관계 척도에서 평균 3점 미만으로 또래관계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 3명을 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주2회, 총 5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90분 동안 총 10회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의 처리는 본 연구자가 프로그램 진행 전, 4회기, 7회기, 10회기, 프로그램 진행 후에 조망 수용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각 아동과 1:1로 이야기한 내용을 녹음하여 조망 수용 측정 도구로 측정하였고, 자유 놀이를 20분간 비디오 촬영하여 본 연구자와 2명의 관찰자가 함께 친사회적 행동을 행동관찰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타인 조망 수용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조망 수용 능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타인 조망 수용 프로그램은 참여한 아동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 시켰다. 따라서, 아동에게 타인 조망 수용 프로그램을 훈련시키면 아동의 조망 수용 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others'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out of children referred to the group play therapy room of D university located in Daegu, three who were reported by their parents as having difficulty in peer relations and who were 3 or below in score obtained using Peer Relations Scale with self-report based were selected and grouped into one. These three children were in their 3rd or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thers' perspective-tak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group for 10 sessions over total 5 weeks, based on 2 sessions in a week, and 90 minutes per session. Before the program application and after 4, 7 and 10 sessions of the program, interviews of the three children on face-to-face basis were carried out, tape-recorded, and evaluated using perspective -taking measurement device. A 20 minutes' free play by each of the threes was video-taped and evaluated by the researcher and other 2 observers with behavior observation rating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children showed improvement in their ability of perspective-taking through participation in others' perspective-taking program. Second, children showed increase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through participation in others' perspective-taking program. In conclusion, children who are trained with others' perspective-taking program via group activities would show improvement in their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increase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