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을 활용한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무망감, 자살구상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 김춘경 김미화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5.06
- 67 - 83 (17 pages)
본 연구는 문학을 활용한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우울한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무망감, 자살구상 감소와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대구소재 00 초등학교 4, 5, 6 학년생 576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사용하여 우울정도가 심한 고위험군 학생 32명을 선발하고, 그 중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밝힌 학생들 중에서 피험자들을 24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2명씩 무작위 선정하였다. 선정된 12명의 실험집단 아동에게 매회 60분씩 10회기에 걸쳐 본 연구자가 개발한 문학을 활용한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비교하였으며, 각 집단의 사후검사와 사전검사의 차이, 그리고 추후검사와 사전검사의 차이에 대해서 각각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우울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자살구상을 감소시키고 무망감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도 효과적이었다. 아울러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자살과 우울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인식하고 통찰하고 극복하도록 도움을 주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Interactive Play Therapy Program on a daily stress, hopelessness,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of depressed children. To find out students who is highly depressed, we used such instruments a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subjects of 576 students of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Among the participants with high depression 32 students were selected and 24 students among them who wanted to participate on this program were divided at random into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was the pretest, posttest, follow-up 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participated in a Interactive Play Therapy Program of 10 sessions for 4 week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Daegu.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was verified a independent t-Test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bserv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pro and follow-up tests. This Interactive Play Therapy Program included 4 steps for building relationship, psychological investigation, insight &, coping skill process, and closing remarks.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ve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a daily stress, hopelessness, suicide thought, self-esteem.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의 해석 및 논의
Ⅳ. 논의 및 제언